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 PER(퍼) 쉽게 이해하기

by 리뷰하안 2021. 8. 10.
728x90
반응형
SMALL

주식, PER(퍼)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리뷰하안입니다.

이번에는 시가총액과 PBR에 이어 PER(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을 하시는 분들은 보통 PER 또는 퍼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저퍼주다, 고퍼주다. 저퍼주를 사야 오를 가능성이 높다?

단순히 볼 때는 저퍼주를 공략해야 한다는 얘기 또한 들어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

PER 공식 및 뜻

그럼, 과연 진짜 저퍼주를 사면 수익률이 얼마이건 조금이라도 오를 확률이 높을까요?

그 또한 굉장히 단순한 가정에 불과한 것이지 실제로는 꼭 그렇지도 않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선 주식을 계속 해오신 분들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것입니다.

 

그럼 왜 그럴까요?

그러기 위해서 PER, 퍼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 필요가 있습니다.

PER는 상기 이미지와 같이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이 되겠습니다.

그럼 주당 순이익(EPS)은 무엇일까요?

 

EPS 공식 및 뜻

 

각 주식마다, 다시 말해 1주당 순이익을 뜻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주당순이익이라고 합니다.

그럼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이 PER, 퍼가 되겠습니다.

그럼 이건 무슨 의미일까요?

 

현재 주가를 재무제표에 나온 순이익을 토대로 구한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다.

PER가 10이라면 현재 주가가 이 회사 순이익의 10배 가치.

PER가 20이라면 현재 주가가 이 회사 순이익의 20배 가치.

...

이렇게 되는 것입니다.

 

PER(퍼)가 높다는 것은 이 회사가 벌어들이는 순이익보다 그만큼 비싸게 거래되고 있다는 소리가 되겠죠?

뭐야? 얘가 벌어들이는 능력, 가치보다 고평가되어 있잖아? 고퍼주네? 비싸. 안 사.

 

반대로 PER(퍼)가 낮다면 이 회사가 벌어들이는 순이익보다 그만큼 싸게 거래되고 있다는 소리가 되겠죠?

우와! 얘가 벌어들이는 능력, 가치보다 저평가되어 있잖아? 저퍼주네? 싸다. 사자.

 

기본 개념은 이렇습니다.

하지만 과연 현실도 그럴까요?

그렇게 간단하다면 주식해서 돈 잃었다는 사람들 별로 없을 거예요.

현실은 PER가 높아서 고평가 되어 있는 고퍼주인데도, 오히려 주가가 잘 오르고,

PER가 낮아서 저평가 되어 있는 저퍼주인데도, 오히려 주가가 안 오르기도 합니다.

 

또한 PER의 의미를 보다 심도 있게 보자면 EPS는 해당 기업이 1년 간 벌어들이는 수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그럼 PER가 10배라는 것은 이 회사가 현재 수익 기준으로 10년은 존속할 수 있을 만한 가치가 있는 회사라고 볼 수 있습니다.

2.PER가 10인데 내년, 후년 수익성이 개선된다면 주당 순이익이 높아져서 PER는 낮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의 PER가 높더라도 미래의 성장성과 수익성 전망이 밝다면 현재의 단순 PER만 놓고 볼 일이 아닙니다.

 

삼성전자 PER 및 업종PER

또한, 고퍼주다 저퍼주다하고 보려면 그 기준점이 필요한데요.

상기 이미지와 같이 업종 PER를 참고하셔야 합니다.

업종별로 평균이 굉장히 상이하기 때문에 어떤 업종은 30도 고퍼일 수 있고, 어떤 업종은 30이라도 저퍼일 수도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해당 업종이 21.14배이네요.

업종 PER보다 앞에 있는 PER의 경우에는 삼성전자의 PER(퍼)인데요. 21.22배로 업종 평균과 거의 비슷합니다.

삼성전자는 우리나라 시가총액 1위인 기업으로 해당 업종을 이끌고 있기 때문에 업종 평균 자체가 삼성전자가 바뀌는 것에 따라 좌지우지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업종도 마찬가지로 1위인 기업의 비중이 클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기 마련입니다.

 

KB금융 PER 및 업종 PER

KB금융의 경우 업종 PER가 10.18배입니다.

삼성전자와 확연하게 차이가 납니다.

 

일반적으로 금융업종이 PER가 낮은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IT나 바이오 등은 PER가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PER를 보실 땐 항상 업종 평균을 함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장 유의할 점이 있습니다.

앞서서도 말씀드렸지만, PER 또한 하나의 참고사항일 뿐이지 절대적으로 신뢰하고 투자했다간 큰 손해를 볼 수도 있다는 점! 반드시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현명한 투자와 성공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