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 재무분석 - 유동비율 쉽게 알기

by 리뷰하안 2021. 8. 21.
728x90
반응형
SMALL

주식 재무분석 - 유동비율 쉽게 알기

 

안녕하십니까? 리뷰하안입니다.

이번에는 유동비율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1.유동비율, 유동비율, 유동이란 무슨 뜻일까?

자, 그럼 유동비율을 왜 보는지 그 필요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동비율이란, 회사의 유동성을 알기 위해서 보는 지표입니다.

어라, 그럼 유동성은 뭘 가지고 유동성이라고 하는 것일까요?

회계적으로 볼 때 '유동'이란 단어는 '1년 이내'라는 것을 뜻합니다.

 

 

2.유동비율 공식 알아보기

자, 그럼 유동비율 공식이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유동비율은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값을 말합니다.

 

유동비율 공식

공식은 비교적 간단하네요.

그런데 분자와 분모에 있는 '유동자산'과 '유동부채'는 무엇일까요?

앞서 '유동'이 1년 이내라는 뜻을 갖는다고 했으니

유동자산은 1년 이내 자산, 유동부채는 1년 이내 부채라는 뜻일까요?

딩동댕! 맞습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1년 이내 현금화가 가능하다는 의미가 됩니다.

유동자산은 1년 이내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이고,

유동부채는 1년 이내 현금화가 가능한 부채가 되겠습니다.

 

3.유동비율의 해석

그럼 1년 이내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 유동자산이 많아야 좋을까요?

아님 1년 이내 현금화가 가능한 부채, 유동부채가 많아야 좋을까요?

정답은 유동자산이 많아야 좋다입니다.

 

유동부채가 더 많다면 1년 이내 갚아야 할 부채가 많다는 것이니

당장 돈을 꾸던지 아니면 은행이나 어디서 돈을 꾸던지 해야 하겠죠?

따라서 유동자산이 많은 것이 좋습니다.

그럼 얼마나 많은 것이 좋을까요?

요건 난이도가 좀 있을 수 있습니다.

 

최소는 100%입니다. 그래야 1년 내 현금화될 자산으로 1년 내 갚아야 부채를 갚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정적이려면 200% 이상입니다.

 

삼성전자 2020년 연간 기준 재무비율 - 유동비율

 

삼성전자의 2020년 재무비율을 살펴보니 약 260% 정도가 나왔네요.

그럼 앞서 말씀드린 200%를 초과하는 만큼 유동성이 충분하다는 소리가 되겠습니다.

(※ 아, 그리고 제가 보통 예시를 삼성전자로 드는 이유는 우리나라 증시 종목 중에서 압도적 시총 1위이기에 그런 것입니다. 다른 뜻은 전혀 없으며 가장 예시로 삼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해서 입니다. 오히려 다른 종목의 경우, 특정 목적을 가지고 보여주는 것 아니냐는 오해를 살 여지가 있을 것 같아 그런 것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식방송 등을 볼 때, ㅇㅇ기업은 유동비율이 낮아서 어쩌고... 이런 내용이 나올 때 유심히 들으시면

아! 하는 생각이 들지 않을까 싶네요.

 

오늘 하루도 알찬 하루되시기 바라며 이상으로 리뷰하안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