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꿀팁] 에어컨 껐다 켜면 전기세 절감될까?
과연 에어컨을 껐다 켜는 게 전기세가 절감되는 게 맞을까요?
누구는 에어컨을 켰다가 시원해지면 끄는 게 낫다고 하고,
또 다른 누구는 껐다 켰다 반복하면 전기세 많이 나오니까 그냥 켜두는 게 낫다고 합니다.

과연 뭐가 맞을까요?
그러기 위해서 우선 '에어컨 종류부터 파악'해야 합니다.
에어컨은 크게 '정속형'과 '인버터'형으로 나뉘어집니다.
이 종류에 따라 절약방법이 달라집니다.
보통 제품의 전면부나 설명서에 인버터(INVERTER)라고 표기되어 있으면 인버터형 에어컨입니다.
2010년 이전에 구매했거나 에너비 소비효율 5등급이면 정속형 에어컨입니다.
정속형 에어컨의 경우에는 항상 풀가동이 되기 때문에 시원해지면 껐다가 더우면 끄는 게 효과적입니다.
12시간 내내 틀었을 때 234kWh = 29,570원 |
2시간 간격으로 틀고 껐을 때 117kWh = 8,530원 |
일반적으로 정속형의 경우 12시간 내내 틀은 경우와 2시간 간격으로 틀고 끄고를 반복한 경우를 비교하면 후자가 70% 정도 절감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인버터형 에어컨의 경우에는 설정한 온도에 이르면 작동이 늦춰지기 때문에 항상 켜두는 것이 오히려 효과적이라고 하네요.
12시간 내내 틀었을 때 111kWh = 7,910원 |
2시간 간격으로 틀고 껐을 때 153kWh = 12,230원 |
인버터형의 경우 12시간 내내 틀은 경우와 2시간 간격으로 틀고 끄고를 반복한 경우를 비교하면 전자가 35% 정도 절감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 추가 꿀팁 1.
에어컨 온도를 한 번에 쭉 내리기!
그리고 전기세 폭탄 맞는 것이 우려돼서 에어컨 온도를 높게 설정하는 경우들이 있는데요.
그럴 필요가 없다고 하네요.전력을 빠른 시간에 소모하는 것이 누진세가 적게 나오기 때문입니다.
※ 추가 꿀팁 2.
습하지 않은 날 제습 기능은 전력 소모를 높일 뿐이다.
전기세 절감 차원에서 제습 기능을 쓰는 경우가 있는데요.습하지 않은 날에 제습 기능을 쓰면 오히려 전력 소모가 더 크다고 합니다.제습보다는 절전기능이 낫다고 하네요.
알아두면 유용한 생활꿀팁! 아직 모르고 계셨다면 앞으로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ㅎㅎ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 중독 자가진단 테스트! - 엑셀 파일 제공 (6) | 2021.09.29 |
---|---|
[생활꿀팁] 불면증 안녕~! 숙면에 좋은 음식 10가지! (7) | 2021.09.22 |
[생활꿀팁] 변기에 벽돌 넣으면 수도세 절감될까? (2) | 2021.09.12 |
[가짜 꿀팁] 엘리베이터 닫힘 버튼, 전기세 절감 (4) | 2021.09.11 |
화장실에 서식하는 벌레, '나방파리' 퇴치법 및 예방법 (0) | 2021.08.29 |
댓글